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우울장애, 일상생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증상

     

    우울장애는 우울감과 의욕저하등을 주요 한 증상으로 하며 다양한 인지장애와 정신적, 신체적인 장애 증상을 일으켜 일상생활에 문제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우울 장애는 생각이나 감정, 신체적인 부분이나 행동까지 변화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며, 이는 개인의 삶 자체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우울증과는 다르며 개인의 의지만으로 증상을 개선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우울증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오랫동안 우울증을 앓는 사람도 많습니다. 우울장애는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다면 충분히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이며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우울증은 서구권 국가에서는 매우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한국은 비서구권국가보다는 낮거나 비슷한 수준의 유병률을 보입니다. 우울장애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다른 정신질환과 마찬가지로 유전적, 생물학적, 환경적인 요인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가족 중 우울증을 앓는 환자가 있는 경우 우울증이 더 많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주변사람이나 경제적인 문제와 같은 개인의 환경도 우울증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신경전달 물질인 두뇌의 문제와 호르몬의 불균형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우울장애 환자에게 나타나는 흔한 증상

     

    우울증의 핵심증상은 삶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상실된다는 부분입니다. 우울장애의 가장 심각한 증상은 자살사고이며, 우울증 환자의 약 70% 정도가 자살을 생각하며 그중 10% 이상이 실제 자살을 합니다. 일부 우울증 환자는 본인의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며 위축된 삶을 살아가고 있으며 본인의 증상을 호소하지 않습니다. 우울증 환자는 심한 무기력감에 시달리며, 어떠한 일을 끝마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때문에 학업이나 직장 업무를 진행하는 데 있어 새로운 동기를 찾지 못하게 됩니다. 우울증 환자의 80% 이상이 수면장애를 호소하며 식욕감소나 체중저하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서는 식욕이 증가하고 수면 시간이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성욕저하의 증상을 보이며, 10명 중 9명 정도에게서 불안장애 증상이 나타납니다. 집중력의 저하나 인지력의 저하도 우울장애의 증상입니다. 일부 우울증 환자는 신체적인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문에 내과적인 검사를 진행해 보지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원인 모를 신체기능 이상증상을 겪게 된다면 우울장애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울장애 자가진단과 치료, 관리 

     

    우울장애가 의심된다면 아래와 같은 부분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하루 종일 우울함이 지속되며 슬픔이나 공허함, 절망감이 나타나거나 눈물이 난다. 

    - 거의 매일 일상적인 활동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며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 특별히 체중조절을 하지 않지만 최근 1개월안에 크게 체중변화가 나타나고 식욕이 감소된다.

    - 체중이 갑자기 늘어나거나 식욕이 증가한다.

    - 매일 불면증 또는 과다수면증상이 나타난다.

    - 거의 매일 초조하고 불안하며 죄책감을 느끼고 있다.

    - 사고력이 저하되며 집중력이 떨어지고 우유부단함이 나타난다.

    - 반복적으로 죽음에 대한 생각을 하며 자살사고나, 자살시도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 사회적인 부분이나 일상적인 부분, 또는 다른 다양한 기능에 대해 고통이나 손상이 나타난다.

     

    우울장애를 치료 할 때에는 약물치료와 함께 정신적인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우울장애에 사용되는 항우울제는 일반적으로 수일 또는 수주에 거쳐 효과가 나타나므로 최소한 4주 이상은 복용을 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약물의 용량을 늘리거나 다른 약물을 사용하여 호전될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울장애는 정신과의료진과 신뢰를 쌓으며 최소 6개월 이상 꾸준하게 진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일상생활을 진행할 때에는 술이나 담배, 불법약물의 복용을 삼가야 하며 꾸준한 운동을 함께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