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가장 많이 나타나는 연령과 발생요인

     

     

    틱장애란  주로 어린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본인이 알지 못하게 얼굴이나 목, 어깨, 몸, 팔, 다리 등 신체의 일부분을 빠르고 반복적으로 움직이며 의미 없는 소리를 나타내는 증상입니다. 틱장애는 크게 몸을 움직이는 운동틱 (근육틱), 소리를 나타내는 음성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이런 증상이 1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뚜렛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틱장애는 유전적인 요인이나 생물학적인 요인, 출산 시 뇌손상을 입는 경우, 두뇌의 구조적 기능적인 원인 등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심리적인 부분이나 과도한 스트레스, 학습적인 부분등도 틱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틱장애는 자연스럽게 사라질 수 있지만 가볍게 나타나는 틱장애도 주변환경이나 가족들의 대처에 따라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족들이나 보호자가 틱장애를 잘못생각하여 오해를 하여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아이를 혼내고 꾸짖게 된다면 아이는 정서적인 문제까지 더해져 틱장애와 함께 또 다른 증상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틱은 단순하게 심리적인 문제만으로 발생하는 증상이 아닌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잡한 질환입니다. 틱장애는 소아에게서 나타나는 흔한 질환으로 전체 아동의 10~20% 정도가 틱장애를 경험할 수 있으며 가장 많이 나타나는 연령은 7세에서 11세의 나이입니다. 그중 만성틱은 1% 의 아동에게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흔하게 확인해 볼 수 있는 증상과 특징

     

    틱장애는 일부로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고의로 이런 증상을 보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날 때 양육자나 교사가 아이를 지적하거나 나무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틱장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변화하게 되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적절한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틱장애는 운동틱과 음성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단순틱과 복합틱으로도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운동틱

       -단순틱:눈 깜빡거림, 얼굴 찡그리기, 코 찡긋거리기, 머리 흔들기, 목 꺾기, 입 내밀기, 눈알 굴리기, 어깨 들썩거리기

       -복합틱:제자리뛰기, 타인의 물건 만지기, 자기 자신을 때리기, 물건 던지기, 남의 행동 따라 하기, 자신의 성기 만지기

    ▷음성틱

       -단순틱:음음소리내기, 킁킁 소리 내기, 헛기침소리, 가래 뱉는 소리, 쉬 소리 내기, 물건 빠는 소리 내기

       -복합틱:상황에 맞지 않는 말하기, 욕설 내뱉기, 남의 말 따라 하기, 의미 없는 이상한 소리를 내며 신체 움직이기

     

     

    틱장애의 진단과 일상생활 속 관리 

     

    틱장애를 진단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잡고 진단을 하게 됩니다. 18세 이전에 증상이 발생, 사회생활이나 학업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경우, 1년 이상 간헐적으로 또는 거의 매일 증상이 발생하며 틱이 나타나지 않는 기간이 3개월을 넘기지 않는 경우, 일정기간 동안 운동틱이나 음성틱이 나타나지만 두 가지가 함께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기준으로 진단하며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까지는 틱장애의 치료방법으로는 약물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만성틱장애는 대개 약물치료를 진행하며 증상에 따라 보통 1년에서 1년 6개월 정도 약을 복용하며 치료합니다. 틱장애는 만성적인 질환이긴 하지만 치료 예후가 좋은 편이며 꾸준하게 치료를 진행한다면 음성틱은 완치되는 경우가 많고 운동틱 또한 호전되기도 합니다. 틱장애는 7세부터 11세 사이에 가장 많이 나타나며 눈을 깜빡거리는 증상부터  시작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눈을 깜빡거리다가 코를 킁킁대는 식으로 변화하고 한 가지 증상이 없어지면서 다른 증상이 새롭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증상의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며 증상이 사라지기도 하지만 만성틱장애나 뚜렛증후군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틱장애는 아이를 놀리고 비난하는 행동, 지적하고 나무라는 행동을 피해야 하며 가장 좋은 대처는 아이의 증상에 관심을 주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긍정적인 주변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도 좋은 관리 방법입니다. 

    반응형